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삼성전자 주가전망

부자아저씨 2021. 3. 23. 17:18

목차



    삼성전자 주가전망

    <목차>

     

    1. 삼성전자 주가전망

     

    2. 삼성전자 배당주기 및 배당일

     

    삼성전자 주가전망 대해서 전달해드리겠습니다. 이 포스트를 전체적으로 읽으면 삼성전자 주가전망 이해하게 되실 것입니다. 삼성전자 주가전망 정보가 필요하신 분들은 끝까지 읽어주세요. 이제 밑에서 삼성전자 주가전망 알려드리겠습니다.

    삼성전자 주가전망

    SK증권은 삼성전자에 대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견조한 실적과 미국 정부의 '반도체 지원정책'에 힘입어 상승 동력을 얻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목표주가는 10만 8000원을 유지했습니다. 23일 김영우 SK증권 연구원은 "오스틴 공장의 가동 중단 사태로 가치 재평가(리레이팅)가 지연될 수밖에 없으나, 메모리 반도체 가격 상승, 오스틴 공장의 정상화, 미국 정부의 적극적 지원책 등을 고려할 때 현재의 주가 조정은 중장기적 매수 기회로 판단한다"라고 말했습니다. 김 연구원은 삼성전자 1분기 매출액이 57조 3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3.5%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8조 7600억으로 같은 기간 35.8% 대폭 성장해 시장 컨센서스(예상치)를 웃도는 견조한 실적이 기대된다고 전망했습니다.


    올해 1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SK증권은 삼성전자의 1분기 실적을 매출 57조3000억원, 영업이익 8조 7600억 원으로 컨센서스를 웃돌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5%, 35.8% 증가한 수치입니다. 김 연구원은 "1분기 우호적인 원·달러 환율 및 모바일(IM)과 소비자 가전(CE) 부문에서 선전으로 세트 부문 실적은 좋을 것"이라며 "LSI와 파운드리는 단기적으로 적자 전환 가능성이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김 연구원은 "오스틴 팹 가동 중단에 따른 손실 포함해 LSI 및 파운드리 실적은 일시적으로 저조할 수밖에 없으나 미국 반도체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적극적 지원 시 TSMC와 함께 최대 수혜가 예상된다"라고 덧붙였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업황은 빠르게 회복 중입니다. D램 가격은 올해 1분기부터 가격 인상이 시작됐으며 2분기부터 낸드 가격도 턴어라운드가 기대됩니다. 김 연구원은 "화웨이의 빈자리를 노리는 오포, 비보 등 중국 업체의 모바일 D램 및 낸드 주문 증가와 반도체 공급 부족 우려에 따른 패닉 수요로 업황은 빠르게 회복 중"이라며 "올해 주요 업체들의 설비투자는 여전히 보수적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스마트폰 사업부(IM)와 가전(CE) 부문은 시장 우려에 비해 견조한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돼 삼성전자의 반도체사업부문에서 발생한 리스크를 메워줄 수 있을 것"이라면서 "모든 부품 가격이 동시에 상승하고 있어, 중장기적인 영업이익률 추세는 하향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삼성전자 주식 매수의견이 유지됐습니다. 1분기 D램 가격의 인상이 시작된 데 이어 2분기부터 낸드플래시 가격도 반등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김영우 SK증권 연구원은 23일 삼성전자 목표주가를 10만8천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습니다. 22일 삼성전자 주가는 8만 2천 원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김 연구원은 “중국 화웨이의 빈자리를 노리는 오포, 비보 등이 모바일 D램과 낸드플래시 주문을 늘리고 있고 반도체 공급 부족 우려에 따른 패닉 수요로 메모리 부문의 업황이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며 “1분기 모바일(IM)과 가전(CE)도 시장의 예상보다는 좋을 실적을 낼 수 있을 것이다”라고 내다봤습니다. 삼성전자는 2021년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57조 3천억 원, 영업이익 8조 7600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2020년 1분기보다 매출은 3.5%, 영업이익은 35.8% 증가하는 것입니다.

     

    메모리사업부는 D램 가격 상승세에 힘입어 1분기에도 실적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2분기부터는 낸드플래시 가격도 상승해 실적 개선세에 힘을 보탤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파운드리사업부는 미국 오스틴 공장의 가동 중단 영향으로 일시적 부진은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하지만 반도체 공급부족과 미국의 반도체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증가로 대만 TSMC와 함께 최대 수혜를 입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삼성전자 배당주기 및 배당일

    삼성전자 배당금은 분기별로 지급하고 1년에 4번 배당금이 지급되며, 배당 기준일 및 배당금 지급일을 알아두면 좋습니다. 배당 기준일은 내가 주식을 배당 기준일 전에는 사야만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일이며, 주식을 사면 2일이 지나서 주주명에 기록이 된다고 하니 배당 기준일 2일 전에는 주식을 사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배당 기준일 1분기 - 3월 31일

    배당 기준일 2분기 - 6월 30일

    배당 기준일 3분기 - 9월 30일

    배당 기준일 4분기 - 12월 30일

     

    이상으로 삼성전자 주가전망 알려드렸습니다. 

     

    반응형